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요긴한 정보

Windows to Go 만들기

먼저 준비물이 필요 합니다.

경험으로는 USB 외장하드디스크를 권합니다.

USB메모리도 가능 합니다만 아무래도 운영체제와 기타 필요한 유틸을 설치하려면 용량도 그렇고 아무리 좋은 USB메모리라도

장시간 사용시 무리가 가기 마련 입니다.

참고로 저는 ADATA SSD 구입할때 딸려오는 케이스에 고장난 노트북에서 빼낸 2.5인치 하드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USB를 사용하고자 하시면 16G이상으로 MLC나 SLC를 권장 합니다.

저는 자료 보관용으로도 TLC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USB 메모리 종류

USB메모리 가격은 전송속도에 따라 같은 용량이라도 가격차이가 큽니다.

SLC방식: 하나의 셀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내보내는 방식이며 읽기 쓰기 속도가 다른 방식에 비해 빠르고 안정적이지만 가격이

              아주 비쌉니다.

MLC방식: 데이터를 여러 셀에 나누어 담아 전송속도는 느리지만 용량 대비 가격이 저렴합니다.

              또한 기판 하나의 양면에 메모리를 탑재해 속도를 높이는 듀얼채널이라는 기술이 있습니다.
              MLC방식에 듀얼채널을 적용한 제품은 전송속도가 우수하면서도  가격은 SLC방식 제품보다 저렴합니다.

TLC방식: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일회용 종이컵?

자세한 내용은 이곳을 참조 바랍니다.

USB메모리 종류 알아보는 유틸           

 


ChipGenius_v4_00_0029_pre1.exe


ChipGenius_v4_00_0023.exe

 

 

Windows 8 Release Preview 다운받기

 

상기 링크에서 자신이 원하는 ISO미미지를 다운 받으세요.

 

gimagex.exe

 

imagex.exe

Imagex.exe 파일은 C\Windows\System32 폴더에 넣으시면 되고 Gimagex.exe는 따로 보관하시면 됩니다.

두파일중 하나만 있으면 됩니다.

 

▶(포스팅용으로 USB 8G 메모리 사용)

 

 

 

먼저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후 아래 명령을 차례로 입력하세요.

diskpart

select volume=j (각자의 맞는 볼륨선택)

clean

create partition primary

format fs=ntfs quick label=wtg8 (라벨은 생략해도 되고 취향대로 정하세요)

active

assign letter=j (저는 다시 J로 정했습니다)

exit

 

이 작업을 마치고 실행에 diskmgmt.msc를 입력하여 목록을 보면 아래와 같이 활성화가 되어 있습니다.

 

 

▶Windows 8 설치

먼저 다운 받으신 윈도우 8 ISO 이미지를 가상 CD-ROM에 만운팅 합니다.

 

 

저는 32bit을 사용 했습니다만 64bit도 전혀 문재 없으며 방법도 같습니다.

만운팅된 드라이브는 I 이고 설치하려는 디스크는 J 입니다.

J USB메모리에 설치할 파일은  가상 CD에 만운트된 sources 파일 안에있는 Install.wim 파일 입니다.

이때 system32 폴더에 넣어둔 Imagex 유틸을 이용합니다.

Gimagex를 이용하실 분들은 이미지 1번을 선택후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명령어:  imagex /apply i:\sources\install.wim 1 j:\

 

 

작업이 완료 되면 J 에 파일 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숨겨진 파일 목록을 보면 아래와 같은 파일들이 생성되어 있습니다.

 

 

▶부팅 구성

현재 상태로는 부팅이 불가 합니다.

그래서 bcdboot을 이용하여 부팅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명령어: bcdboot j:\windows /l ko-kr /s j: (참고:ㅣ는 L이며 로켈은 한국어 기준으로 했습니다)

 

작업후의 파일

 

 

이상으로 모든 작업이 완료 되었습니다.

재 부팅하면서 부팅순서를 USB로 지정하시면 사용 가능 합니다.

설치키:  TK8TP-9JN6P-7X7WW-RFFTV-B7QPF

워터마크 제거

My_WCP_Watermark_Editor.exe

 

http://danielkig.tistory.com/210 인용했습니다.